본문 바로가기
개발/Vue.js

프로그레시브 웹앱 - 1일차

by 세크레투스 2023. 6. 30.
반응형
SMALL

1. 프로그레시브 웹앱이란?

 

1) 배경

- 2015년 구글 크롬 엔지니어인 알렉스 러셀(Alex Russell)이 고안한 개념

- 웹 VS 앱이라는 진부한 싸움은 이제 그만! -> 웹에서 출발해 앱으로 가는 여정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는 명확

 

2) 특징

- 웹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네이티브 앱의 강점으로 무장

- 네이티브 앱의 강력한 가능성과 웹의 뛰어난 접근성을 모두 갖춘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웹앱이라는 평가

- 즉, 웹과 앱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보면 된다.

 

3) 강점

- 네이티브 앱 + 모바일 웹앱 + 하이브리드 앱 = 프로그레시브 웹앱

- 본질은 웹이지만 앱처럼 쓸 수 있어야 한다. => 네이티브 앱과 똑같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 => 앱을 향해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야(progressive)한다는 철학.

 

4) 표 정리

구분 장점 단점
개발 - 이미 익숙한 웹 기술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푸시 알림, 오프라인 캐시, HTTPS를 사용할 수 있다.
- 하드웨어 사용은 웹 API를 통하므로 웹 표준을 지원하는 브라우저가 반드시 필요하다.
배포 -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든 배포할 수 있다.
- '홈 화면 설치' 기능을 통해 OS 응용프로그램으로 설치할 수 있다.
- 실시간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다.
- 앱 스토어, 플레이 스토어를 이용할 수 없다. 하지만 코르도바를 사용하면 동일 코드 베이스로 배포할 수 있다.
사용 - 빠른 실행속도로 네이티브 앱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 안드로이드, 윈도우 OS는 PWA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나 현재 iOS의 경우는 일부만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