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rn3 [React-Native, RN, Typescript] PokeAPI로 배우는 Redux-Toolkit 비동기처리 Redux-Toolkit 이란?리덕스 개발팀에서 만든 공식 라이브러리.기존의 리덕스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모듈 작성 시 액션 타입, 액션 생성 함수, 리듀서를 한 번에 작성할 수 있고,상태를 업데이트할 때 불변성에 대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Redux-Toolkit으로 비동기처리 하는 법?그것은 바로, Redux Thunk를 사용하는 것이다.createAsyncThunk와 createSlice를 사용하여 Redux-Toolkit만으로 비동기 처리를 쉽게 할 수 있으며,Redux-Saga에서만 사용할 수 있던 기능(이미 호출한 API 취소하기 등)까지 사용할 수 있다. PokeAPI로 Redux-Toolkit Thunk로 비동기 처리 실습하기1. 새 프로젝트 생성npx react-native.. 2024. 8. 2. [React Native, RN, Typescript] 팀프로젝트 앱 개발 담당파트 시연영상 React Native를 사용해 개발한 기능들을 시연한 영상이다.아쉽게도 팀 프로젝트 중 한 팀원분이 개인 사정으로 인해 팀에서 나가시게 되어 프로젝트를 마무리 하지 못했다.2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매일 밤새워 작업할 만큼 열심히 임했던 프로젝트이다.이로 인해 원형탈모까지 생길 정도로 힘든 시간이었지만, 그만큼 열정적으로 작업했기에 이 블로그에 그 작업 시연 영상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한다. (참고로, 유튜브 개인 채널에도 업로드 함.) 2024. 8. 1. 1.6 Creating The App ReactNative 앱을 만들어보자. 우선, 앱을 만들 폴더 위치로 가서 cmd 창을 켜주고,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입력한다. npx create-expo-app [폴더명] 그러면 cmd 창에서 template을 선택하라는 안내문이 뜰 것이다. 고민하지 말고 첫번째것을 선택한다. (바로 엔터를 누르면 된다.) 그러면 정상적으로 첫번째 ReactNative 앱이 설치된다. 앱이 설치되면 앱 폴더를 vscode로 열어준다. 그리고 이 앱이 핸드폰에서도 실행이 되는지 확인을 해준다. package.json 파일을 열어보면 scripts 부분에 앱을 실행시킬 수 있는 명령어가 보일 것이다. 해당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해서 각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우선 expo를 실행시켜보자. npx expo start 그럼.. 2023. 5. 30. 이전 1 다음 반응형 LIST